난시용 렌즈도수, 근시용으로 쓰려면 도수는??

렌즈의 도수를 정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중요합니다. 그것에 대해 알려 드립니다!

  • 난시의 정의 난시(亂視, Astigmatism)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 면이 완벽한 구형을 이루지 않아, 눈에 들어온 빛이 망막의 한 점에 정확히 초점을 맞추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시야를 흐릿하거나 왜곡되게 만듭니다.
  • 각막 난시
    • 원인: 각막 표면이 비대칭적이거나 불규칙한 모양을 띠어 빛이 고르게 굴절되지 않음.
    • 설명: 각막이 타원형(축구공 모양)을 띠는 경우, 빛이 서로 다른 축에서 다르게 굴절됩니다.
  • 수정체 난시
    • 원인: 수정체의 비대칭적 굴절로 인해 발생.
    • 설명: 수정체가 고르게 곡선을 이루지 못할 경우, 빛이 여러 방향으로 산란합니다.
  • 혼합 난시
    • 원인: 각막과 수정체가 모두 비대칭적일 때 발생.
    • 설명: 빛이 여러 초점에서 굴절되어 망막에 정확히 도달하지 못합니다
  • 선천적 원인
    • 설명: 대부분의 난시는 선천적으로 발생하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후천적 원인
    • 각막 손상: 외상, 감염, 수술 등으로 인해 각막 모양이 변형됨.
    • 질환: 각막확장증(케라토코누스) 등 특정 안과 질환.
    • 외부 요인: 눈을 자주 비비거나 특정 직업적 활동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난시는 안경, 콘택트렌즈, 레이저 시력 교정 수술 등을 통해 교정 가능합니다.

렌즈 도수는 어떻게 정할까?

렌즈 도수는 안경 도수와 같거나 혹은 조금 낮춰서 사용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안경 도수가, R -2.00 / L -1.50 이라고 하면, 그대로 사용을 하면 됩니다. 낮은 근시(-4.00이하)에서는 굳이 도수를 조정하지 않고 안경도수와 같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높은 도수에서는 도수를 조금 낮춰서 사용해야 합니다

정점간 거리의 차이: 안경렌즈와 각막의 중심까지의 거리

  • 안경: 안경은 눈과 렌즈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있어 빛이 굴절되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특히 근시의 경우, 안경을 통해 보이는 상이 실제보다 작아 보이는 축소 효과가 발생합니다.
  • 렌즈: 렌즈는 눈에 직접 닿아 안경처럼 빛이 굴절되는 거리가 없기 때문에 축소 효과가 적습니다. 따라서 안경보다 낮은 도수로도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 -5.25 / L -4.75 라고 하면, 도수를 조정하여 R -5.00 / L -4.50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난시가 있는 분들의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지식IN에서 질문을 가져와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Q.난시 있는데 컬러렌즈를 시용하고 싶습니다 

일주일에 한 두번 정도 근시용으로 사용할 생각인데 괜찮겠죠…?
사진 속 투명렌즈 상자에 쓰여있는 걸 해석하기 어려워서요 저정도 난시면 어떤 도수를 사용하면 되나요??

렌즈 도수 박스를 보면 여러가지 숫자가 쓰여져 있습니다. 숫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보겠습니다. D옆에 붙은 숫자는 디옵터, 즉 도수를 의미합니다. 근시도수입니다. 그 아래 쓰여진 CYL은 난시 도수 / AXIS는 난시 축을 말합니다. BC는 베이스커브 DIA는 렌즈의 직경인데 이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근시도수 -4.75 / -5.00 난시도수 -2.25입니다. 난시가 -2.00이 넘어가면 난시가 아주 많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질문자님은 컬러레즈를 사용하시려고 하지만 컬러렌즈의 경우 난시용이 그지 많지 않기에 근시용 제품을 사용하려고 질문을 하셨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런 경우 난시도수의 절반 정도를 근시도수에 더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진상 왼쪽은 -4.75에 난시도수의 절반 정도인 -1.00을 더하여 D -5.75를 사진상 오른쪽은 -5.00에 난시도수의 절반 정도인 -1.00을 더하여 -6.00을 구매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물론, 이 분의 경우 난시도수가 워낙 높기에 보이는 것은 불편할 수 있으니 가끔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하나 더 예시를 보겠습니다.

Q.렌즈 도수

첨부 이미지

어떤걸로사야하나요? 도수보다 높은 것 사도돼요?

이 분은 아마도 안경원의 처방전 사진을 올리신 것으로 보입니다. 사진의 글자들을 보면 SPH는 근시도수 CYL은 난시도수 AXIS는 난시축입니다. OD(오른쪽) OS(왼쪽) 아마도 도수에 대한 이해가 어려우신 것처럼 보입니다. 이 도수면 난시용 렌즈와 근시용 도수 둘 다 보겠니다.

난시용 제품이라면 R -4.25-0.75×180 / L -3.50 -0.75×180 근시용 제품이라면 R -4.50 / L -3.75 이렇게 구매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높은 근시도수의 경우 도수를 낮추고 난시가 있는 사람이 근시용을 쓰는 경우 도수를 높여주는 것 이 두가지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궁금하신 점 댓글로 남겨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Left Menu Icon
다니글라스